본문 바로가기
코딩테스트/Java

[Level2] 최솟값 만들기 답안 및 풀이

by SRin23 2021. 12. 24.

◇ 문제 설명

길이가 같은 배열 A, B 두개가 있습니다.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배열 A,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단,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A = [1, 4, 2] , B = [5, 4, 4] 라면

  •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 B에서 첫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0 + 5(1x5) = 5)
  • A에서 두번째 숫자인 4,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5 + 16(4x4) = 21)
  • A에서 세번째 숫자인 2,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21 + 8(2x4) = 29)

즉, 이 경우가 최소가 되므로 29를 return 합니다.

배열 A, B가 주어질 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최솟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제한 조건

  • 배열 A, B의 크기 : 1,000 이하의 자연수
  • 배열 A, B의 원소의 크기 : 1,000 이하의 자연수

 

◇ 입출력 예시

A B answer
[1, 4, 2] [5, 4, 4] 29
[1, 2] [3, 4] 1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4) 다음, A에서 두번째 숫자인 2, B에서 첫번째 숫자인 3을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4 + 6 = 10)
이 경우가 최소이므로 10을 return 합니다.

 

 

◇ 초기 내용

※ [출처] 프로그래머스-코딩테스트 연습-문제명

※ 초기 내용을 참고하여 문제에 맞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 int []B)
    {
        int answer = 0;

        // [실행] 버튼을 누르면 출력 값을 볼 수 있습니다.
        System.out.println("Hello Java");

        return answer;
    }
}

 


◇ 풀이 과정

[최솟값 구하기] 문제의 핵심은 길이가 같은 두 배열 A, B가 있을때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수를 곱한 후, 두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했을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처음 이 문제를 보았을때에는 누적된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최소인 수를 구해야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문제를 풀다보니 규칙이 보였다.

 

그 답은 각 배열에서 뽑는 한개의 숫자에 있었다.

각 배열에서 뽑는 한개의 숫자에 대하여 서로 평균을 맞춰주는것이다.

예를 들어, A = [1, 4, 2] , B = [5, 4, 4] 라면

A에서 가장 작은 수인 1, B에서 가장 큰 수인 5를 곱하여, 1 x 5 = 5

A에서 두번째로 작은 수인 2, B에서 두번째로 큰 수인 4를 곱하여, 2 x 4 = 8

A에서 가장 큰수인 4, B에서 가장 작은 수인 4를 곱하여, 4 x 4 = 16

즉, 5 + 8 + 16 = 29로 위 예시와 같은 답이 나오게 된다.

 

이를 표로 설명하자면,

A(오름차순정렬) 1 4 2
B(내림차순정렬) 5 4 4
answer 1 x 5 4 x 4 2 x 4

와 같은 풀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고자 하였다.

 

◇  참고 사항

<정렬>

이번 문제는 '효율성'을 중점적으로 보는 문제였다. 이 효율성을 가르는 코드가 바로 '정렬'알고리즘이었는데 바로 이 정렬 알고리즘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따라 효율성 테스트의 통과여부가 갈라진다.

 

우선 오름차순을 기준으로 크게 2가지의 정렬 코드를 소개하겠다.

 

첫번째로는 선택 정렬이다. 

 

선택 정렬

선택 정렬(selection sort)은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들에 대해 가장 작은 데이터를 찾아 가장 앞의 데이터와 교환해나가는 방식이다. 그러면 선택 정렬의 동작 과정을 [그림 8-1]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terms.naver.com

  • 선택정렬은 가장 이해하기 쉽고, 직관적인 정렬 방법이지만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선택정렬의 시간복잡도는 O(n제곱)으로 매우 속도가 느린편이다.
  • 아래는 선택정렬의 코드이다.
    for (int i = 0; i < n-1; i++) {
    	min = arr[i];
        index = i;
    	for (int j = i+1; j < n; j++) {
    		if (min > arr[j]) {
    			min = a[j];
                index = j;
    		}			
    	}
        a[index] = a[i];
        a[i] = min;
    }​
     
  •  선택정렬의 정렬과정
    <초기 배열>
    5 2 1 4 3
    <1단계>
    1 2 5 4 3
    <2단계>
    1 2 5 4 3
    <3단계>
    1 2 3 4 5
    <4단계>
    1 2 3 4 5
    <5단계>
    1 2 3 4 5

두번째로는 퀵정렬이다. 

 

퀵 정렬

퀵 정렬(quick sort)은 기준키를 기준으로 작거나 같은 값을 지닌 데이터는 앞으로, 큰 값을 지닌 데이터는 뒤로 가도록 하여 작은 값을 갖는 데이터와 큰 값을 갖는 데이터로 분리해가며 정렬하는

terms.naver.com

  • 퀵정렬은 정렬 중 꽤 높은 효율을 자랑하며, 시간복잡도로 O(logn * n)
  • 아래는 퀵정렬의 코드이다.
    int i, j, pivot, temp;
    if(left<right){
    	pivot = arr[left];
    	i = left;
    	j = right;
    	while(i<j){
    		while(i<right&&arr[i]<=pivot) i++;
    		while(j>left&&arr[j]>=pivot) j--;
    	}
                   
    	if(i<j){
    		temp = arr[i];
    		arr[i] = arr[j];
    		arr[j] = temp;
    	}
    }
    arr[left] = arr[j];
    arr[j] = pivot;
    
    QuickSort(arr, left, j-1);
    QuickSort(arr, j+1, right);​

 

◇ 답안

더보기
더보기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 int []B)
    {
        int answer = 0;
        
        //배열의 크기를 저장하는 변수 생성
        int length = A.length;
        
        //첫번째 배열은 오름차순 정렬
        A = QuickSort(A, 0, length-1, true);
        
        //두번째 배열은 내림차순 정렬
        B = QuickSort(B, 0, length-1, false);
        
        //첫번째 오름차순 정렬 확인 코드
        //SortCheck(A, length);
        
        //두번째 내림차순 정렬 확인 코드
        //SortCheck(B, length);
        
        //각 요소를 곱한 후, answer에 누적하여 저장
        for(int i = 0; i<length; i++){
            answer += A[i]*B[i];
        }
        
        return answer;
    }
    
    //퀵정렬을 이용하여 오름/내림차순 정렬
    //ch가 true이면 오름차순, ch가 false이면 내림차순을 나타냄
    int[] QuickSort(int arr[], int left, int right, boolean ch){
        int i, j, pivot, temp;
        if(left<right){
            pivot = arr[left];
            i = left;
            j = right;
            while(i<j){
                if(ch==true){
                    while(i<right&&arr[i]<=pivot) i++;
                    while(j>left&&arr[j]>=pivot) j--;
                }else{
                    while(i<right&&arr[i]>=pivot) i++;
                while(j>left&&arr[j]<=pivot) j--;
                }
                
                if(i<j){
                    temp = arr[i];
                    arr[i] = arr[j];
                    arr[j] = temp;
                }
            }
            arr[left] = arr[j];
            arr[j] = pivot;
            
            QuickSort(arr, left, j-1, ch);
            QuickSort(arr, j+1, right, ch);
        }
        return arr;
    }
    
    // 정렬 확인을 위한 출력 코드
    // 프로그래머스 내, 출력 코드를 포함하여 제출 시, 효율성 테스트에서 막힐 수 있음(주석처리)
    // void SortCheck(int arr[], int length){
    //     for(int i = 0; i<length; i++){
    //         System.out.print(arr[i] + " ");
    //     }
    //     System.out.println();
    // }
}

 

◇ 실행결과

최솟값 구하기 실행결과

 

◇ 효율성 테스트 결과

최솟값 구하기 효율성 테스트 실행결과

 

◇ 출처

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코딩테스트 연습

기초부터 차근차근, 직접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

programmers.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