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Spring

Spring 초기 설정

by SRin23 2022. 2. 14.

Spring Project 생성

https://start.spring.io/

위 사이트를 이용하면, 개발자가 원하는 방향에 맞춰 spring이 자체적으로 서버를 열어준다

 


지금부터 위 사진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가볼것이다.


Project

최근에는 Maven Project보다 Gradle Project를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라고 한다.

  • Manen과 Gradle의 상세 내용과 차이는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자!
  • 즉, Build라는 동적인 요소를 xml자체로만 정의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어, Maven보다는 Gradle(xml대신 Groovy라는 문법사용)을 더 많이 사용하며, 속도또한 Gradle이 훨씬 빠른것을 알 수 있다.
 

Maven vs Gradle

Maven vs Gradle 스프링 기반의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Maven을 처음 접했다. Ant를 사용한적도 없었고 의존성 관리와 빌드 스크립트에 대한 지식도 없었기에 이런게 있나보다 하고 사용했었다. Maven

bkim.tistory.com

 

Maven과 Gradle의 차이

Maven vs Gradle 우선 둘의 차이를 알기위해 각각 알아보았다. Maven같은경우는 스프링프로젝트에서 pom.xml이란 이름으로 쓰고, Gradle은 스프링부트, 안드로이드에서 쓰는걸로 알고있다. 처음에 단순히

hyojun123.github.io


Language

말 그대로 사용 언어를 선택하는 곳이다.

Spring에서는 Java, Kotlin, Groovy를 지원하는것 같다.

 


Spring Boot

Spring Boot의 Version을 선택하는 곳이다.

Version 옆에 붙어있는 단어들은 아래와 같다.

  • SNAPSHOT : (Daily Build) 실험 버전으로, 새로 개발되는 기능들이 있어, 변동이 있을 수 있다.
  • M(Milestone) : SNAPSHOT보다 정리가 잘 되어있는 실험 버전,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 RC(Release candidate) : Milestone보다 정리가 잘 되어있는 배포 버전, 왠만하면 그대로 배포
  • ga : 최종 release버전

때문에 우리는, 현재 실험 중인 SNAPSHOT혹은 M버전이 아닌 버전 중 가장 높은 버전인 2.6.3을 쓰도록 하자!

Project Metadata

  • Group : 보통 기업의 도메인명으로 자유롭게 작성이 가능하다.
  • Artifact : 빌드 결과물의 이름을 작성한다.
  • Name : 프로젝트의 이름을 작성한다.
  • Description : 프로젝트를 설명한다.
  • Package name : 패키지의 이름을 작성한다. (보통, Group.Artifact로 자동 저장된다.)
  • Packaging : 배포 형태를 작성한다(jar, war)
  • Java : 자바의 버전을 선택한다.(8/11/14) → 나는 11version을 사용했다.

Dependencies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주입받을 수 있는 화면이다.

Add Dependencies를 클릭 한 후,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검색하여 추가하자!

만약, 여기서 추가하지 못한 라이브러리의 경우 Build Gradle파일에서 직접 Dependencies에 작성하여 추가할 수 있다.

💡 라이브러리 참고
Spring Web : Web프로젝트를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추가해야하는 라이브러리
Lombok : 보다 편리하게 getter와 setter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줌
H2 Database : H2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기타>
Spring security
Spring boot actuator
Spring Data JPA
Spring Data Redis
Mysql Driver 

모든 선택이 완료되었다면, Generate를 클릭하여 zip파일을 다운 받는다.

이후, intellij에서 zip파일 압축을 풀어 Open한다.

main class를 실행시켜, spring서버가 잘 돌아가는지 확인하자!

 

-참고-

https://pearlluck.tistory.com/329

 

[Java] Spring Initializr로 스프링프로젝트 hello world 시작하기

Spring initializr란? spring에서 제공하는 spring initializr 웹도구를 사용해서 스트링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이다. 어떻게 사용하지?! 1.웹접속 https://start.spring.io/ <<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

pearlluck.tistory.com

 

만약, 아래와 같이 Spring 로고가 뜨고, ports 8080과 같이 뜬다면 실행 성공이다!!!

 

바로 Chrome을 켜서 localhost: 8080에 접속하면, 서버가 열린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Study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 02. Spring Entity 작성하기  (0) 2022.02.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