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Java

[Level2] 프린터 답안 및 풀이

SRin23 2022. 1. 9. 23:59

 문제 설명

일반적인 프린터는 인쇄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인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문서가 나중에 인쇄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중요도가 높은 문서를 먼저 인쇄하는 프린터를 개발했습니다. 이 새롭게 개발한 프린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합니다.
1. 인쇄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J)를 대기목록에서 꺼냅니다.
2. 나머지 인쇄 대기목록에서 J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한 개라도 존재하면 J를 대기목록의 가장 마지막에 넣습니다.
3. 그렇지 않으면 J를 인쇄합니다.

 

예를 들어, 4개의 문서(A, B, C, D)가 순서대로 인쇄 대기목록에 있고 중요도가 2 1 3 2 라면 C D A B 순으로 인쇄하게 됩니다.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위의 예에서 C는 1번째로, A는 3번째로 인쇄됩니다.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가 순서대로 담긴 배열 priorities와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현재 대기목록의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loca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 제한 조건

  • 현재 대기목록에는 1개 이상 100개 이하의 문서가 있습니다.
  • 인쇄 작업의 중요도는 1~9로 표현하며 숫자가 클수록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 location은 0 이상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작업 수 - 1) 이하의 값을 가지며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으면 0, 두 번째에 있으면 1로 표현합니다.

 

◇ 입출력 예시

priorities location return
[2, 1, 3, 2] 2 1
[1, 1, 9, 1, 1, 1] 0 5

 

◇ 초기 내용

※ [출처] 프로그래머스-코딩테스트 연습-문제명

※ 초기 내용을 참고하여 문제에 맞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riorities, int location) {
        int answer = 0;
        return answer;
    }
}

 


◇ 풀이 과정

문제의 풀이과정은 이러했다.

  1. Queue를 이용하여 priorities의 모든 값을 Queue에 저장한다.
  2. 만약 Queue의 첫번째값이 가장 큰값(가장 높은 우선순위)이 아니라면 첫번째 값을 Queue의 맨 뒤로 보낸다.
  3. 만약 Queue의 첫번째 값이 가장 큰값(가장 높은 우선순위)이라면 그 값이 내가 요청한 location의 문서인지 확인한다.
  4. 내가 요청한 location의 문서가 아니라면 가장 높은 우선순위이므로 삭제(인쇄작업 실시)한후 answer의 값을 1증가한다.
  5. 내가 요청한 location의 문서라면 break하여 answer을 return한다. 

처음 문제를 보았을때에는 정렬을 이용하여 풀어보려고 했으나, 정렬 사용시 중복된 우선순위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는 location의 문서를 찾을 수 없으므로(정렬하며 섞이게 되므로) 답안을 제출할 수 없었다.

아래는 배열의 정렬을 이용하여 풀이한 코드이다.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riorities, int location) {
        int answer = 0;
        //priorities의 location번째에 있는 내가 구하고자하는 값을 order에 저장
        int order = priorities[location];
        //System.out.println(order);
        
        //Arrays.sort()를 이용하여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
        Arrays.sort(priorities);
        
        //인덱스가 0이 되기 전까지 뒤에서부터 for문을 반복 
        for(int i = priorities.length-1; i>=0; i--){
            //만약, 정렬된 priorities의 i번째 값과 order의 값이 같다면
            if(priorities[i]==order){
            	//answer에 priorities.length-i를 저장 후 break
                //priorities.length-i는 몇번째로 문서를 작업했는지 알 수 있는 계산식이다.
                answer = priorities.length-i;
                break;
            }
        }    
        
        return answer;
    }
}

 

◇  참고 사항

첫번째, Queue

  • import java.util.LinkedList와 import java.util.Queue 패키지를 import해야한다.
  • Queue<WrapperType> 변수명 = new LinkedList<>()로 초기화한다.
  • 주요 메서드
    메서드명 사용방법 설명
    add queue.add(value) 값을 추가합니다.
    remove queue.remover() 가장 처음의 값을 반환하고 삭제합니다.
    peek queue.peek() 가장 처음의 값을 반환합니다.

 

 

◇ 답안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priorities, int location) {
        int answer = 0;
        
        Queue<Integer> priorityDocument = new LinkedList<>();
        Queue<Boolean> order = new LinkedList<>();
        
        for(int i = 0; i<priorities.length; i++){
        	priorityDocument.add(priorities[i]);
            if(location==i){
                order.add(true);
            }else{
                order.add(false);
            }
        }

        answer = 1;
        while(true){
            int max = Collections.max(priorityDocument);
            if(priorityDocument.peek()!=max){
            	priorityDocument.add(priorityDocument.remove());
                order.add(order.remove());
            }else{
                if(order.peek()==true){
                    break;
                }else{ 
                	priorityDocument.remove();
                    order.remove();
                    answer++;
                }
            }
            
        }
        return answer;
    }
}
  • 주석을 포함한 코드(아래 참조)
더보기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priorities, int location) {
        int answer = 0;
        
        //우선적으로 저리할 문서를 구현할 Queue객체 생성
        //Queue 알고리즘은 Queue객체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으며, LinkedList를 활용한다.
        Queue<Integer> priorityDocument = new LinkedList<>();
        
        //자신이 요청한 문서의 위치를 알려주는 Queue객체 생성
        Queue<Boolean> order = new LinkedList<>();
        
        //각 Queue에 값 할당
        //priorityDocument에는 priorities배열 안의 값을 저장
        //order에는 자신이 구하고자하는 위치의 값을 true로 저장, 그 외의 문서는 false로 저장
        for(int i = 0; i<priorities.length; i++){
        	priorityDocument.add(priorities[i]);
            if(location==i){
                order.add(true);
            }else{
                order.add(false);
            }
        }

        //요청한 문서가 몇번째로 인쇄되는지 구할 answer변수 사용
        answer = 1;
        while(true){
        	//Collections.max()를 이용하여 priorityDocument에서 가장 큰 값을 찾음
            int max = Collections.max(priorityDocument);
            
            //priorityDocument의 가장 첫번째 값이 max와 다르다면
            if(priorityDocument.peek()!=max){
            	//priorityDocument와 order의 가장 첫번째 값을 맨 뒤로 보냄
            	priorityDocument.add(priorityDocument.remove());
                order.add(order.remove());
            }else{
            	//가장 첫번째 값과 max의 값이 같다면
            	//order의 첫번째 값이 true인지 확인
                if(order.peek()==true){
                	//true이면 break를 하여 메서드를 빠져나옴
                    break;
                }else{
                	//false라면 자신이 요청한 location의 작업이 아니므로 
                	//우선적으로 처리해야할 문서를 인쇄했다는 의미해서 현재 priorityDocument와 order의 값을 삭제 후 
                	priorityDocument.remove();
                    order.remove();
                    //인쇄작업을 하였으므로 answer 1 증가
                    answer++;
                }
            }
            
        }
        return answer;
    }
}

 

◇ 실행결과

프린터 실행결과

 

◇ 출처

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코딩테스트 연습

기초부터 차근차근, 직접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

programmers.co.kr